(R)땅에서 거꾸로 솟는 제천 작은 암자의 '역 고드름' 화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도언 작성일2018.01.31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제천시 덕산면 작은 사찰의 천연동굴에서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이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땅에서 솟는 ‘고드름 군락지’는 전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생긴 고드름인지 청주 BBS 손도언 기자가 직접 확인했습니다.
[리포트]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 대한불교 조계종 선학원의 작은 사찰, 보덕암입니다.
보덕암 뒤편은 제천 청풍호반을 끼고 있어 아름다운 풍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스텐드업]
이곳은 해발 500m 지점에 위치한 보덕암입니다.
이 작은 고개를 넘어 수십 미터만 더 내려가면 역 고드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모감주나무 군락지를 지나고, 돌계단 비탈길을 내려오면 보덕굴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보덕굴 내부에 들어서면 죽순처럼 거꾸로 자라는 ‘역 고드름’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동굴 속에는 100여개의 역고드름이 있는데, 높이 60cm 안팎의 큰 고드름과 5cm의 작은 것까지 다양합니다.
[스텐드업]
이곳은 석회암 자연동굴 보덕굴입니다.
오후 3시쯤 햇살이 역고드름을 비추면 이색적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고드름이 거꾸로 자라는 이유는 무엇일까.
역 고드름은 석굴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얼어 거꾸로 자라는 것입니다.
해마다 역고드름이 자라는 것은 아닙니다.
기온 등 3박자가 모두 들어맞아야 이런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적인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선학원 보덕암 주지
“물이 한방울, 한방울 떨어지면서 그게 다시 얼고, 응고해서 다시 차곡차곡 쌓여서 저게 이뤄졌습니다. 날이 춥고, 또 물이 떨어지니까 삼합(기온, 물, 관리)이 맞았을 때, 하나라도 부족하면 숫자도 줄고(합니다.)”
사진작가와 관광객들도 4년만에 찾아온 역고드름을 보기 위해 보덕굴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선엽 관광객/ 충남 예천군
“정말, 친구들이 환상적으로 잘 왔다고 저한테, 고마워 할 정도로 대단합니다. 진작에 몰랐던 게 조금 아쉽습니다. 오늘 온 김에 많이 보고, 공기도 좋고 멋진 날 됐습니다. ”
1970년대 북한 무장간첩 침투로 막혔다가 1986년 보덕암 대웅전 신축과 함께 개방된 보덕굴.
이제는 제천의 관광자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BBS뉴스 손도언입니다.
제천시 덕산면 작은 사찰의 천연동굴에서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이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땅에서 솟는 ‘고드름 군락지’는 전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생긴 고드름인지 청주 BBS 손도언 기자가 직접 확인했습니다.
[리포트]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 대한불교 조계종 선학원의 작은 사찰, 보덕암입니다.
보덕암 뒤편은 제천 청풍호반을 끼고 있어 아름다운 풍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스텐드업]
이곳은 해발 500m 지점에 위치한 보덕암입니다.
이 작은 고개를 넘어 수십 미터만 더 내려가면 역 고드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모감주나무 군락지를 지나고, 돌계단 비탈길을 내려오면 보덕굴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보덕굴 내부에 들어서면 죽순처럼 거꾸로 자라는 ‘역 고드름’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동굴 속에는 100여개의 역고드름이 있는데, 높이 60cm 안팎의 큰 고드름과 5cm의 작은 것까지 다양합니다.
[스텐드업]
이곳은 석회암 자연동굴 보덕굴입니다.
오후 3시쯤 햇살이 역고드름을 비추면 이색적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고드름이 거꾸로 자라는 이유는 무엇일까.
역 고드름은 석굴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얼어 거꾸로 자라는 것입니다.
해마다 역고드름이 자라는 것은 아닙니다.
기온 등 3박자가 모두 들어맞아야 이런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적인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선학원 보덕암 주지
“물이 한방울, 한방울 떨어지면서 그게 다시 얼고, 응고해서 다시 차곡차곡 쌓여서 저게 이뤄졌습니다. 날이 춥고, 또 물이 떨어지니까 삼합(기온, 물, 관리)이 맞았을 때, 하나라도 부족하면 숫자도 줄고(합니다.)”
사진작가와 관광객들도 4년만에 찾아온 역고드름을 보기 위해 보덕굴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선엽 관광객/ 충남 예천군
“정말, 친구들이 환상적으로 잘 왔다고 저한테, 고마워 할 정도로 대단합니다. 진작에 몰랐던 게 조금 아쉽습니다. 오늘 온 김에 많이 보고, 공기도 좋고 멋진 날 됐습니다. ”
1970년대 북한 무장간첩 침투로 막혔다가 1986년 보덕암 대웅전 신축과 함께 개방된 보덕굴.
이제는 제천의 관광자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BBS뉴스 손도언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