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문재인 정부의 정규직화'...충북 자치단체 인건비 부담 걱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도언 작성일2017.05.28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방침’에
충북지역 자치단체가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인건비 부담이
가장 큰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도언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와 도내 시·군의 정규직 전환 대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천 800여명입니다.
도청과 농업기술원 등 산하 기관의 기간제 근로자는 265명이고,
청주시는 283명, 충주시와 제천시는 각각 140명과 154명입니다.
다음달 중으로 정부 지침이 확정되면 충북도와 시·군은
이들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문제는 인거비입니다.
도청의 경우 기간제 근로자 265명 중 일단 130여명만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도
인건비 부담은 종전의 연 74억원에서 26억여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됩니다.
도와 시·군 뿐만 아니라 출자·출연기관과 도내 공기업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300여명도 정규직 전환 대상이어서 무기계약직 전환에 따른 자치단체 등의 인건비 '출혈'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도는 기간제 근로자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전제로
정부에 인건비 부담 비율 조정을 공식 건의했습니다.
인건비는 정부와 지자체가 6대 4 비율로 부담하는데, 8대 2로 조정하자는 것입니다.
인건비 부담 걱정은 교육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충북지역 교육청과 각급학교 기간제 근로자는 보건보조와 체육코치, 영어강사 등 10개 직종에 891명입니다.
충북도교육청은 정규직화 작업이 이뤄져도
교육 공무직이나 기존 기간제 근로자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기간제 근로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면 엄청난 재정부담이 따른다"고 토로하면서 "인건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조치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BBS뉴스 손도언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방침’에
충북지역 자치단체가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인건비 부담이
가장 큰 걱정입니다.
보도에 손도언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와 도내 시·군의 정규직 전환 대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천 800여명입니다.
도청과 농업기술원 등 산하 기관의 기간제 근로자는 265명이고,
청주시는 283명, 충주시와 제천시는 각각 140명과 154명입니다.
다음달 중으로 정부 지침이 확정되면 충북도와 시·군은
이들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문제는 인거비입니다.
도청의 경우 기간제 근로자 265명 중 일단 130여명만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도
인건비 부담은 종전의 연 74억원에서 26억여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됩니다.
도와 시·군 뿐만 아니라 출자·출연기관과 도내 공기업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300여명도 정규직 전환 대상이어서 무기계약직 전환에 따른 자치단체 등의 인건비 '출혈'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도는 기간제 근로자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전제로
정부에 인건비 부담 비율 조정을 공식 건의했습니다.
인건비는 정부와 지자체가 6대 4 비율로 부담하는데, 8대 2로 조정하자는 것입니다.
인건비 부담 걱정은 교육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충북지역 교육청과 각급학교 기간제 근로자는 보건보조와 체육코치, 영어강사 등 10개 직종에 891명입니다.
충북도교육청은 정규직화 작업이 이뤄져도
교육 공무직이나 기존 기간제 근로자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는 "기간제 근로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면 엄청난 재정부담이 따른다"고 토로하면서 "인건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조치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BBS뉴스 손도언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