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지역사회 갈등’ 원인 제공…행정신뢰 추락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호상 작성일2017.02.05 댓글0건본문
‘제2매립장 공모 방식’ 손바닥 뒤집듯…‘민‧민 갈등 조장’ 비난 쇄도
청주 제2 쓰레기매립장 조성 방식을 둘러싼 지역사회 갈등을 “청주시가 조장했다”는 비난이 쏟아지며, 청주시의 행정 신뢰가 추락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꼬여가고 있는 ‘청주 제2 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을 둘러싼 민‧민 갈등의 불씨를 청주시가 원인 제공했다는 비난의 화살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청주시는 지난해 흥덕구 강내면의 학천리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지붕형 제2매립장’ 입지를 공모해 유치를 희망했던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와 흥덕구 신전동 가운데 후기리를 최종 입지로 선정했습니다.
시는 후보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남 천안시 동면지역 주민들까지 반발하는 등 응모했던 두 지역 민‧민 갈등을 잠재워야하는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감내해야 하는 고초를 치렀습니다.
그런데 청주시가 갑자기, 제2 매립장 조성 방식을 지붕이 없는 ‘노지형’으로 바꾸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종 입지로 선정된 오창 후기리에 지붕형 매립장을 조성할 경우 경제성 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조성 방식을 한 순간에 뒤집은 겁니다.
청주시 스스로 오창 후기를 최종 입지로 선정함에 있어 경제성과 효율성 등을 제대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것을 자인한 꼴입니다.
청주시의 이같은 사업 변경에 오창 후기리 주민들은 “청주시가 주민들을 상대로 사기를 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청주 오창과 충남 천안시 동면지역 10개리 주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제2 매립장 노지형 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7일 청주시청에서 집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2014년 공모 당시 청주시는 지붕형으로 만들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침출수와 악취를 최소화하기로 했다”며 “매립장 부지를 확보한 후 마음대로 ‘지붕이 없는 매립장’으로 바꾸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행정 사기극”이라며 청주시를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
반면, 또 다른 오창읍 일부 주민들은 노지형 조성 방식에 ‘찬성’ 입장을 보이며 반대 입장 주민들과 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최종 입지로 선정된 청주시 오창읍 주민들의 민‧민 갈등을 넘어 지역사회 갈등으로 비화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청주시는 별다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뒷짐만 지고 있는 형국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주시의회도 “청주시를 신뢰할 수 없어 예산 반영이 어렵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성현 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은 “제2 매립장 사업은 공모 과정부터 잘못됐음이 드러났다”며
“찬반 주민들을 모두 설득하는 등 청주시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청주시가 지역사회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만큼 직접 해결하라며 청주시를 압박한 겁니다.
앞서 청주시의회는 제2매립장 관련 예산 79억 5천여만원 전액을 삭감했습니다.
공모 당시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바꿔버린 바람에 지역사회 갈등을 유발한 청주시가 어떤 대안을 내 놓을지 주목됩니다.
청주 제2 쓰레기매립장 조성 방식을 둘러싼 지역사회 갈등을 “청주시가 조장했다”는 비난이 쏟아지며, 청주시의 행정 신뢰가 추락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꼬여가고 있는 ‘청주 제2 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을 둘러싼 민‧민 갈등의 불씨를 청주시가 원인 제공했다는 비난의 화살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청주시는 지난해 흥덕구 강내면의 학천리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지붕형 제2매립장’ 입지를 공모해 유치를 희망했던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와 흥덕구 신전동 가운데 후기리를 최종 입지로 선정했습니다.
시는 후보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남 천안시 동면지역 주민들까지 반발하는 등 응모했던 두 지역 민‧민 갈등을 잠재워야하는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감내해야 하는 고초를 치렀습니다.
그런데 청주시가 갑자기, 제2 매립장 조성 방식을 지붕이 없는 ‘노지형’으로 바꾸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종 입지로 선정된 오창 후기리에 지붕형 매립장을 조성할 경우 경제성 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조성 방식을 한 순간에 뒤집은 겁니다.
청주시 스스로 오창 후기를 최종 입지로 선정함에 있어 경제성과 효율성 등을 제대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것을 자인한 꼴입니다.
청주시의 이같은 사업 변경에 오창 후기리 주민들은 “청주시가 주민들을 상대로 사기를 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청주 오창과 충남 천안시 동면지역 10개리 주민들이 참여하고 있는 제2 매립장 노지형 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7일 청주시청에서 집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2014년 공모 당시 청주시는 지붕형으로 만들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침출수와 악취를 최소화하기로 했다”며 “매립장 부지를 확보한 후 마음대로 ‘지붕이 없는 매립장’으로 바꾸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행정 사기극”이라며 청주시를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
반면, 또 다른 오창읍 일부 주민들은 노지형 조성 방식에 ‘찬성’ 입장을 보이며 반대 입장 주민들과 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최종 입지로 선정된 청주시 오창읍 주민들의 민‧민 갈등을 넘어 지역사회 갈등으로 비화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청주시는 별다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뒷짐만 지고 있는 형국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주시의회도 “청주시를 신뢰할 수 없어 예산 반영이 어렵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성현 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은 “제2 매립장 사업은 공모 과정부터 잘못됐음이 드러났다”며
“찬반 주민들을 모두 설득하는 등 청주시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청주시가 지역사회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만큼 직접 해결하라며 청주시를 압박한 겁니다.
앞서 청주시의회는 제2매립장 관련 예산 79억 5천여만원 전액을 삭감했습니다.
공모 당시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바꿔버린 바람에 지역사회 갈등을 유발한 청주시가 어떤 대안을 내 놓을지 주목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